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Computer Science86

[백준 2170번] 선 긋기 (C++, Python3) https://www.acmicpc.net/problem/2170 2170번: 선 긋기 첫째 줄에 선을 그은 횟수 N (1 ≤ N ≤ 1,000,000)이 주어진다. 다음 N개의 줄에는 선을 그을 때 선택한 두 점의 위치 x, y (-1,000,000,000 ≤ x < y ≤ 1,000,000,000)가 주어진다. www.acmicpc.net 이번 포스트에서는 백준 알고리즘 문제인 선 긋기를 포스트하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문제는 solved.ac 기준 골드 5에 위치한 문제입니다. 먼저 문제입니다. 선을 그은 횟수 N과 선을 그을때 선택한 두 점의 위치를 입력받습니다. 이때, 그려진 선들의 총 길이를 구하여 출력하는 문제입니다. 해당 문제는 선이 있는 위치에 겹쳐서도 그릴 수 있기 때문에, 선이 겹쳐서 .. 2023. 10. 11.
[백준 2263번] 트리의 순회 (C++, Python3) https://www.acmicpc.net/problem/2263 2263번: 트리의 순회 첫째 줄에 n(1 ≤ n ≤ 100,000)이 주어진다. 다음 줄에는 인오더를 나타내는 n개의 자연수가 주어지고, 그 다음 줄에는 같은 식으로 포스트오더가 주어진다. www.acmicpc.net 이번 포스트에서는 백준 알고리즘 문제인 트리의 순회를 포스트하도록 하겠습니다. 해당 문제는 solved.ac 기준 골드 1에 위치한 문제입니다. 먼저 문제입니다. 정점 수 N이 입력으로 주어지고, N개의 정점을 갖는 이진 트리의 중위 순회 결과와 후위 순회 결과를 입력받습니다. 출력으로 해당 이진 트리의 전위 순회를 출력하는 문제입니다. 해당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먼저 중위순회와 후위순회, 전위 순회에 대한 이해가 필요합.. 2023. 10. 10.
[백준 3584번] 가장 가까운 공통 조상 (C++, PyPy3) https://www.acmicpc.net/problem/3584 3584번: 가장 가까운 공통 조상 루트가 있는 트리(rooted tree)가 주어지고, 그 트리 상의 두 정점이 주어질 때 그들의 가장 가까운 공통 조상(Nearest Common Anscestor)은 다음과 같이 정의됩니다. 두 노드의 가장 가까운 공통 조상은, 두 www.acmicpc.net 이번 포스트에서는 백준 알고리즘 문제인 가장 가까운 공통 조상을 포스트하겠습니다. 해당 문제는 solved.ac 기준 골드 4에 위치한 문제입니다. 먼저 문제입니다. 입력으로 테스트 케이스 T와, 노드수 N, 간선 정보 N - 1개가 T번 주어집니다. 그리고 해당 케이스 마지막 입력으로 가장 가까운 공통 조상을 찾고자 하는 두 노드를 입력받습니다.. 2023. 10. 6.
[백준 2042번] 구간 합 구하기 (C++, Python) https://www.acmicpc.net/problem/2042 2042번: 구간 합 구하기 첫째 줄에 수의 개수 N(1 ≤ N ≤ 1,000,000)과 M(1 ≤ M ≤ 10,000), K(1 ≤ K ≤ 10,000) 가 주어진다. M은 수의 변경이 일어나는 횟수이고, K는 구간의 합을 구하는 횟수이다. 그리고 둘째 줄부터 N+1번째 줄 www.acmicpc.net 이번 포스트에서는 백준 알고리즘 문제인 구간 합 구하기를 포스트 하겠습니다. 해당 문제는 solved.ac 기준 골드 1에 위치한 문제입니다. 먼저 문제입니다. 수의 개수 N, 수의 변경이 일어나는 횟수 M, 구간의 합을 구하는 횟수 K를 입력받습니다. 그리고, N개의 수를 입력받고, M+K 개의 구간합 혹은 수의 변경 명령을 입력받습니다.. 2023. 10.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