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Computer Science86

데이터링크 계층 (DataLink Layer) 링크계층에서는 네트워크 계층으로부터 받은 데이터그램을 프레임화하며, MAC 프로토콜에서 링크로 프레임을 전송할 때, 링크에 접근 하는 규칙을 명시합니다. 또한, TCP와 유사하게 신뢰적 전달을 제공합니다. 링크계층도 다른 계층과 유사하게 오류 검출을 진행합니다. 링크 계층에서는 크게 다음 3가지 기술을 사용합니다. 패리티검사체크섬순환중복검사 (CRC)패리티 검사는 단일 패리티검사와 2차원 패리티 기법으로 나뉘는데, 단일 패리티검사는 패리티 비트를 추가하여 짝수 패리티 혹은 홀수 패리티를 만들어서 검사하는데, 이 경우 짝수개의 비트 오류가 발생하면 오류를 검출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2차원 패리티 기법은 단일 패리티 기법을 2차원으로 일반화하여 진행하므로, 오류 검출 및 정정까지 가능합니다. 순환중.. 2024. 7. 9.
네트워크 계층 (Network Layer) 네트워크 계층은 애플리케이션 계층과 트랜스포트 계층의 다음 계층입니다. 해당 계층에서는 라우터가 작용을 하며, 라우팅과 포워딩이 이루어집니다. 라우팅이란, 송신측에서 목적지까지 패킷이 전송될 경로를 정하는것이고, 포워딩은 라우터에서 입력 링크로부터의 패킷을 출력링크로 전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때, 포워딩 테이블을 통해 목적지 주소와 출력 링크 인터페이스를 대응시켜두어 빠른 속도로 전달할 수 있게끔 합니다. 라우팅을 할 때에는 라우팅 프로토콜을 통해 경로를 결정하는데 크게 다음 3가지로 나누어 집니다.RIPOSPFBGP그리고 데이터 전송은 IP 프로토콜을 통해 이루어지게 됩니다. IPv4의 데이터그램은 최소 20바이트에서 최대 60바이트의 헤더를 가집니다. IP 데이터그램은 출력 링크의 MTU에 따라 .. 2024. 7. 2.
트랜스포트 계층 (Transport Layer) 트랜스포트 계층의 대표적인 프로토콜은 TCP, UDP가 있습니다. 이 두 프로토콜은 헤더에 오류 검출 필드가 존재해서 무결성 검사를 제공합니다. 먼저 TCP는, 신뢰적 데이터 전달을 제공하고, 혼잡제어를 제공하며, 데이터가 순서에 맞게 전달됩니다.반대로, UDP는 비신뢰적 데이터 전달로, 손상되지 않거나 목적지에 도달하는 것을 보장하지 않습니다. 트랜스포트 계층은 다중화와 역다중화 작업을 거칩니다. 다중화는 소켓들로부터 데이터를 모아서, 헤더를 부착하여 세그먼트로 만든 후 네트워크 계층으로 전달하는 작업이고, 역다중화는 세그먼트 내 데이터를 목적지 호스트의 여러 소켓 중 올바른 소켓으로 전달하는 작업을 의미합니다. 이 과정에서 UDP 소켓의 경우는 목적지 IP와 목적지 포트번호로만 식별하고, TCP 소켓.. 2024. 6. 28.
애플리케이션 계층 (Application Layer) 먼저 네트워크에서 애플리케이션 구조는 Client / Server 구조와 P2P 구조로 나뉘어 있습니다. Client / Server 구조는 고정된 IP를 가진 서버 호스트가 항상 켜져있고, 클라이언트 호스트가 서버 호스트에 요청을 보내고 서버가 응답하는 형식입니다. P2P 구조는 항상 켜져있는 독립서버에 의존하지 않고, 피어라고 불리는 호스트 쌍이 서로 직접 통신하여 서비스를 주고받습니다. 최근에는 P2P 구조보다는 Client / Server 구조를 많이 사용을 하고 있습니다. (보안상 P2P는 취약함, 하지만 P2P를 사용하지 않는것은 아님) 위 Client / Server 구조에서 네트워크 애플리케이션은 상호 통신하는 두 프로세스로 구성되는데, 그것이 클라이언트와 서버 입니다. 이 두 프로세스는 .. 2024. 6. 2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