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CPU는 다음 동작들을 순서대로 수행합니다.
- 명령어 인출
- 명령어 해독
- 데이터 인출
- 데이터 처리
- 데이터 저장
1번과 2번은 모든 명령어에 대하여 공통으로 실행되지만, 3~5번은 선택적으로 실행합니다.
명령어 인출은 Main Memory에서 명령어를 CPU로 가져오는 동작입니다.
명령어 해독은 명령어를 통해 수행해야할 동작을 결정하기 위해 명령어를 해독하고, IR에 저장하는 동작입니다.
데이터 인출은 Main Memory or I/O에서 명령어의 operand에 해당하는 정보를 가져옵니다.
CPU의 구성
CPU는 ALU와, CU, Register Set으로 구성됩니다.
ALU는 Arithmetic and Logical Unit의 약자로, 이름대로 산술논리연산장치입니다.
사칙연산과 논리값 연산 등을 수행합니다.
CU는 Control Unit의 약자로 코드를 해석하고 실행하기 위한 제어 신호들을 순차적으로 발생하는 H/W 모듈입니다.
레지스터는 가장 빠른 기억장치로, CPU 내부에 위치하고 있는데, 특수 목적용 레지스터와 일반 목적용 레지스터로 나뉘어 CPU에 포함됩니다.
CPU는 앞선 포스트에서 설명한 시스템 버스와 연결되어 있습니다.
버퍼 레지스터나 인터페이스 회로를 통하여 시스템버스와 CPU가 접속됩니다.
반응형
'Computer Science > 컴퓨터 구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명령어 파이프라이닝 (1) | 2024.01.03 |
---|---|
명령어 실행 (0) | 2024.01.02 |
컴퓨터 구조의 발전 (0) | 2024.01.02 |
컴퓨터 시스템의 구성 및 동작 원리 (0) | 2023.12.28 |
컴퓨터시스템 (0) | 2023.12.28 |